6월 19일 시황. 반도체에 집결하는 매수세. 엔비디아 1위

Today's Point

6월 19일 시황. 반도체에 집결하는 매수세. 엔비디아 1위
댓글 0 조회   10

GOLDENTREE
쪽지 보내기 게시글 보기

6월 19일 시황. 반도체에 집결하는 매수세. 엔비디아 1위


◎ 해외 증시

소매판매 부진, 금리 하락, 반도체 급등하며 상승

나스닥은 7일 연속 상승. 엔비디아 시총 1위 등극 

5월 소매판매 전월 0.1%. 예상 0.3% 하회

자동차 제외시 -0.1% 감소. 예상은 0.2%

전년비는 2.3%. 지난달 2.7% 대비 낮아짐

4월 수치 0%에서 -0.2%로 하향 수정

휘발유 가격, 식당 매출 감소가 영향을 준 것

소비 둔화 조짐에 국채금리 4.21%까지 하락

금리 내려가며 반도체주에 매수 유입되며 상승

엔비디아 3.5% 오르며 시총 3.33조달러로 1위 등극

마이크로소프트 3.31조, 애플 3.28조 넘긴 것

로젠블라트, 140달러에서 200달러로 상향. 

서스케한나, 145달러에서 160달러로 상향

엔비디아 내부자들 상반기에 액분 전 기준 77만주 매도

작년 상반기 84.8만주 다음으로 많이 매도한 것

시티즌 JMP, 보상금 차원 매도라 부정적 볼 필요 없어

한편 내부자 매수는 2020년 12월 이 후에는 없다고

일부 펀드에서 엔비디아 추가 매수로 비율 조정해야 한다고

반면 애플 비중은 축소하는 일종의 리밸런싱 예상

마이크론 3.8%, ARM 8.6%, 퀄컴 2.2% 상승

웨드부시, 마이크론 긍정적 소식 이어져. 170달러 상향

스티펠, HBM 추가 인증 전망. 140달러에서 165달러로

BoA, 최고의 투자 종목 리스트 US-1에 마이크론 추가

주초 콜옵션 거래 급증했다는 보도 나옴

토마스 바킨, 인플레, 고용 확인시까지 금리 유지해야

수잔 콜린스, 2% 확신 갖기 일러, 인내심 필요

알베르토 무살렘, 인하되는 조건 몇 달 이상 걸릴 수도

아드리아나 쿠글러, 첫 3개월 높았으나 이 후 진전

예상대로 간다면 올해 언젠가 금리인하 시작 적절

존 윌리암스, 인하는 지표 보며 결정할 것  

Trivariate, 금융여건 개선, 실적, AI 효과로 강세장 이어져

특히 AI 기대 강해 투자자들 쉽게 이탈 안 할 것

유럽 문제는 일단 큰 영향은 없는 모습 이어져

제프리스, 프렉시트, 유로존 붕괴는 과장된 것

위험 자산 긍정적 시각 유지. 미국 증시 선호

BNY 멜론, 연준 입장 확정 아니나 올해 두 번 인하 예상

JP모건, 아이폰 16, 17 시리즈 업그레이드 강력할 것

AI폰 효과에 판매량 가파른 증가 전망. 목표가 245달러

다만 반도체 매수 집중되며 주가는 하락

MS, 애플, 아마존, 메타, 알파벳은 일제히 하락함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5.27 (-0.05%)

국제유가 81.57달러 (+1.54%)

변동성지수 12.3 (-3.53%)

10년물 금리 4.217%

MSCI 한국지수 +0.91%

야간선물 +0.75%


◎ 전망과 전략

양시장 차별적인 움직임이 이어지고 있음

코스피는 최근 6일 중 5일 상승

코스닥은 3일 상승 후 3일 하락 중

그런데 코스피도 4일 연속 하락 종목수가 더 많음

코스닥은 3일간 평균 하락 종목수가 1000개 수준

양시장에서 기관이 매도 전환하며 수급 불균형 초래

외국인만 매수 주체다 보니 상승 종목수 제한되는 것

또 하나는 시총 최상위 종목들의 부진

코스닥 시총 1위는 이차전지주

에코프로 그룹주 주가 부진이 지수에 영향

지수가 눌리면서 하락 종목수도 많아지는 구도

그러나 시황상 특별한 악재는 없는 상황

반도체 등 실적 기대 종목군은 선별적 상승 중

외국인 매수, 실적 턴 전망도 그대로 유지

호실적 평가 불구 눌린 종목들은 관심 필요

특히 기관 매수 누적 상태에서 조정 보인 종목들 관심

이 게시판에서 GOLDENTREE님의 다른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