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증시 관련

HOT NEWS

*한국 증시 관련
댓글 0 조회   3 추천 0 비추천 0

*한국 증시 관련


MSCI 한국 증시 ETF는 0.08% 상승했지만, MSCI 신흥 지수 ETF는 0.23% 하락.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가 1.79% 상승했지만, 러셀2000지수는 0.42%, 다우 운송지수는 0.79% 하락. 야간선물은 0.09% 하락. 전일 1,387.50원을 기록한 달러/원 환율에 영향을 주는 NDF 달러/원 환율 1개월물은 1,389원을 기록


*FICC: 밀 하락 확대


국제유가는 전일 이스라엘과 레바논 긴장 우려 등으로 상승했지만 오늘은 전면전 가능성이 낮다는 분석이 제기되자 하락. 여기에 미국 서부 정유시설들이 이라크 원유에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캐나다산 원유 이용을 확대하고 있다는 소식도 하락. 천연가스는 냉각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품시장 약세로 하락. 유럽 천연가스도 부진


달러화는 미국 주택 주택가격이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캐나다 인플레이션이 상향되자 여타 환율에 대해 강세. 다만, 파운드화와 엔화에는 약세를 보이는 등 혼재된 가운데 인덱스 기준 소폭 상승에 그침. 역외 위안화는 소폭 약세를 보인 가운데 멕시코 페소와 브라질 헤알이 1%대 약세를 보임. 그러나 캐나다 달러, 인도 루피 등은 강세를 보이는 등 대체로 혼재된 모습


국채 금리는 케이스-쉴러 미국 4월 주택 가격이 전년 대비 7.2% 상승을 기록해 예상했던 6.9%를 상회했다는 점, 캐나다 물가가 2.7%에서 2.9%로 가속화된 점을 반영하며 상승 출발. 그러나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여기에 2년물 국채 입찰에서 응찰률이 12개월 평균인 2.66배를 상회한 2.75배, 간접입찰이 638%보다 높은 65.9%를 기록하는 등 수요가 증가하자 하락 전환. 다만 그 폭은 제한


금은 달러 강세 등을 기반으로 하락. 구리 및 비철금속은 달러 강세를 반영하며 하락. 특히 구리의 재고가 증가했다는 소식에 수요 감소 우려를 반영하며 구리 등이 하락을 주도. 다만, 아연과 납은 재고 감소로 상승. 밀은 미국의 공급 증가를 반영하며 큰 폭으로 하락. 특히 최근 하락에 따른 투자 심리가 위축된 가운데 달러 강세도 부담. 대두와 옥수수 등 여타 농작물도 하락.

이 게시판에서 GOLDENTREE님의 다른 글
제목